제휴 마케팅 기획, 데이터 분석으로 접근하기(+성공 사례)
패션・의류 브랜딩 또는 마케팅을 담당하고 계신가요?
자사의 새로운 컬렉션을 런칭할 때, 어떤 브랜드와 콜라보레이션해야 고객의 눈길을 확 사로잡고 기대 이상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지 고민이시죠.
‘최적의 콜라보레이션 파트너를 선정하도록 돕는’ 데이터 분석 세트가 있다면 믿으시겠어요?
데이터를 기반으로 타겟 고객이 열광하는 브랜드를 찾고 다음 분기 매출 목표를 달성하세요!

패션 브랜드 콜라보 마케팅이 주목받는 이유
고물가・불황 지속으로 갈수록 어려워지는 패션업계… 제휴 마케팅이 활로
2024년 3분기 패션·의류업계는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엔데믹 이후 전 세계적인 고물가 및 불황 분위기가 지속하면서 의류 소비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아래 차트 참조)
패션 브랜드들은 4분기에 고가 겨울옷 판매를 통해 실적을 개선해야 합니다. 이처럼 어려운 시장 상황에서 타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제휴 마케팅은 효과적인 마케팅 및 매출 확대 전략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어떤 브랜드와의 협업이 겨울 컬렉션의 매력을 극대화하고 고객의 관심을 끌 수 있을까요?
데이터에 기반한 전략적 콜라보로 새로운 매출 창출의 열쇠를 찾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패션 브랜드 제휴 마케팅 전략, 데이터 분석으로 접근하는 법
페인포인트 설정
디자이너 브랜드 K사를 사례로 들어서 콜라보 마케팅 전략을 짜보겠습니다.
K사는 3분기의 부진한 매출을 극복하고, 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150%의 매출을 달성해야 올해 적자를 면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K사는 현재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새로운 고객층을 유치할 수 있는 최적의 콜라보레이션 파트너를 모색 중입니다.
K사의 제품은 독특한 디자인과 뛰어난 품질로 중고가 시장을 겨냥하고 있으며, 기존 충성 고객층 외에도 새로운 연령대와 트렌드에 적합한 확장 가능성을 가진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싶어합니다.
K사는 어떤 브랜드와 콜라보레이션을 하면 좋을까요?
분석 데이터 조합
디사일로의 금융 마이데이터를 활용하면, 콜라보할 브랜드와 세부 전략을 찾을 수 있습니다.
디사일로 데이터 | 콜라보레이션 인사이트 | |
---|---|---|
개인금융소비자 데모 | → | 연령대 및 성별 파악을 통한 콜라보레이션 브랜드 도출 |
카드 승인 내역: 결제처 명 | → | 라이프스타일 및 취향 분석을 통한 콜라보레이션 브랜드 도출 |
카드 승인 내역: 승인금액 | → | 구매력 파악을 통한 콜라보 제품군 및 가격 포지셔닝 전략 도출 |
금융 행태: 월평균 카드지출액 | → | 구매력 파악을 통한 콜라보 제품군 및 가격 포지셔닝 전략 도출 |

데이터 인사이트 - ① 콜라보레이션할 브랜드 및 제품군 도출
“우영미・키르시보다는 커버낫・로맨틱크라운이랑 콜라보 하시죠”
디자이너 브랜드 K사의 소비자 성별 및 연령 분포는 주로 20~30대, 특히 젊은 층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우영미(Woo Young Mi), 키르시(KIRSH), 앤더슨벨(Andersson Bell) 등의 의류 브랜드도 이와 유사한 연령 분포를 보입니다.

K사는 현재 20~30대 초반을 주 타깃으로 삼고 있지만, 한정된 연령층에만 의존하면 고객 기반의 지속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영미, 키르시, 앤더슨벨처럼 유사한 타깃을 보이는 브랜드의 소비 데이터를 분석하면, 현재로서는 오히려 피해야 할 콜라보 대상을 찾을 수 있겠죠. K사는 현재 10대 잠재 고객을 타깃해보고자 합니다.
이에 10대부터 브랜드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연령 스펙트럼을 확장하고, 다양한 연령층을 아우르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해야겠다는 판단이죠.

커버낫(Covernat)과 로맨틱크라운(Romantic Crown) 이 10대 후반부터 20대 초반을 주요 타깃으로 하고 있어, K사는 이 연령대를 흡수해 브랜드를 확장하는 전략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K사는 커버낫, 로맨틱크라운을 구매하는 소비층의 소비 데이터를 분석해 콜라보 마케팅의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
“스니커즈, 스터디카페, OTT, 게임과 콜라보 어때요?”


커버낫과 로맨틱크라운을 포함한 10대 후반부터 20대 초반을 타겟팅하는 디자이너 브랜드 10사의 소비자 카드 승인 내역 빈도를 분석한 결과, 해당 연령층은 스니커즈 전문 매장, 카페, 스터디 카페, 액세서리 브랜드, OTT 서비스, 게임 플랫폼 등의 소비가 활발한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즉 라이프스타일 및 취미 분야에서 활발한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
의류 브랜드로는 컨버스와의 협업을 제안할 수 있겠습니다. 한정판 스니커즈 출시를 통해 K사의 독특한 디자인을 홍보하고, 스트리트 패션에 관심 있는 소비자층을 공략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여가 및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는 스터디 카페와의 협업을 추천할 수 있습니다. K사의 브랜드 경험을 오프라인 공간에서 제공하며, 학업과 K사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면 젊은 층에게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
또한 OTT 서비스나 게임 서비스 등과 함께 예상치 못한 독특한 콜라보레이션을 전개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데이터 인사이트 - ② 타깃집단 구매력 확인 및 전략 구체화
콜라보레이션할 브랜드별 프라이싱 전략까지 데이터 기반으로 수립

10대 후반부터 20대 초반을 타겟팅하는 디자이너 브랜드 10사의 소비자 승인금액과 카드 지출액을 분석한 결과, 월별 카드 지출액 평균은 약 500,000원 정도로 나타났습니다.
의류와 액세서리 영역에서는 한 번 결제할 때 평균 30,000원에서 50,000원 정도를 소비하고 있으며, 카페 및 스터디 카페 영역에서는 한 번의 소비 금액이 평균 5,000원에서 10,000원 정도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게임 및 OTT 서비스 영역에서는 20,000원에서 40,000원 정도를 소비하는 경향이 확인되었습니다. 👟 컨버스와의 협업: 컨버스와의 협업을 통해 출시할 한정판 스니커즈는 30,000원에서 50,000원 사이의 가격대로 책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의류 및 액세서리에 지출하는 평균 금액과 일치하며,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의 타깃층이 부담 없이 구매할 수 있는 범위입니다.
더불어, 한정판이라는 특성이 제품에 희소성과 가치를 부여하여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할 것입니다. 📚 스터디 카페와의 협업: 카드 지출 내역에서 카페 및 스터디 카페 이용이 두드러지므로, 5,000원에서 10,000원 가격대의 담요, 슬리퍼 등 공부를 돕는 라이프스타일로 제품군으로 확장을 할 수 있습니다.
스터디 카페와 공동 기획한 한정판 담요, 슬리퍼로 학업과 여가를 동시에 즐기는 공간에서 제공 및 판매함으로써 소비자들의 관심을 효과적으로 끌 수 있습니다. 📸 포토그래피 영역에서의 높은 구매 금액을 활용한 프로모션 기획:
포토그래피 영역에서는 카드 승인 빈도는 낮지만 약 100,000원대의 높은 구매 지출이 새롭게 발견되었습니다. 이는 주민등록증과 원서 제출 등을 위해 증명사진이 필요한 10대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K사는 증명사진에 적합한 기본 라인 제품 구매 시 시현하다, 산호맨숀, 영카이브와 같은 사진 스튜디오 할인권을 제공하는 프로모션을 기획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으로 더 정확한 마케팅 채널을 선정해보세요
데이터 기반의 전략적 제품 출시와 협업으로 K사는 소비자층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신규 소비자를 유입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다양한 가격대의 제품군으로 폭넓은 소비자층을 겨냥함으로써 K사는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고 시장에서의 입지를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디사일로의 금융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기반 솔루션은 이처럼 비즈니스에 해답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자사의 신제품이 더 많은 소비자에게 도달할 수 있도록, 정확한 타겟팅과 효율적인 예산 배분으로 성공적인 마케팅 캠페인을 이끌어보세요.
✅ 금융 마이데이터로 최적화된 마케팅 채널 발굴하러 가기
💡 마케팅 전략 수립에 최적화된 다양한 데이터 레시피 보러 가기
📈 쉽고 빠르게 데이터를 쇼핑해보세요 - ‘데이터 마켓’ 더 자세히 보러가기
*자체적으로 보유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한 시나리오입니다.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의류업계, 무더위에 3분기 실적부진…4분기 반등 기대”, 연합뉴스. 2024.11.11. https://www.yna.co.kr/view/AKR20241108139800030?section=economy/all
“[Z세대 온라인 앙케트 ❶] Z세대는 어디서, 어떤 옷을 살까?”, 패션비즈. 2024.05.14. https://fashionbiz.co.kr/article/207807